Hi-Fi
High-Fidelity의 줄임말로써
고충실도를 의미하는 음향관련분야의 용언데요.
소리에 충실하다라는 뜻으로 많은 오디오들이 하이파이를 지향합니다.
소리를 레코딩하는데서부터 스피커에 소리가 나오는데까지는 많은 음의 손실/왜곡과 원치않는 변화가 있는데
hi-fi는 이를 극복하고 원음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런 하이파이오디오시스템과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기기인 PC와의 접목으로 생겨난 용어가
바로 PC-FI 입니다.
오디오가 매니아층들만 즐기는 것과는 달리 PC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용하고 즐깁니다.
게다가 요즘세대들은 대부분 pc나 mp3로 노래를 듣지요.
카세트테이프나 cd같이 불편한 저장매체들로 듣던 옛날의 시대는 점점 사라지는(매니아적인요소로바뀌는) 현상도 오래전부터 일어났습니다.
현대 사람들은 편리함을 추구합니다.
오디오도 불편한쪽에선 마찬가지지요.
편리함과는 동떨어져있는 것이기에 더욱 매니악한 것이되고 소외되어가는 것입니다.
이러한 면에서 PC-Fi의 등장은 오디오계의 큰 변화라고 할수 있습니다.
PC에서의 hi-fi시스템이 나온진 얼마 되지 않았지만
보다 편리해지고 현세대에 맞게
좀더 많은 일반인들이 소리에 신경쓰는 계기가 된거죠.
매니아층을 확장시킨것입니다.
제가 개념을 설명하기에 앞서 말할 부분은
pc-fi만이 아닌 오디오에서나 다른쪽에서도 통용되는 개념입니다.
단지 pc-fi에 입문하기 위해서는 알고가야할 일반적인 상식정도에 대한 글이니
가볍게 읽어주셨으면 합니다.
소리.
소리는 크게
음원부[소스기기] - 앰프[증폭] - 스피커[출력]
으로 나뉩니다.
셋 중에 하나라도 없다면 소리는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습니다.
이 세가지가 오디오, pc-fi 등의 구성개념입니다.
음원부는 오디오에선 cdt+dac나 cdp를 예로 들수 있습니다.
cd나 sacd같은 광디스크나 그외 저장매체에 기록되있는 음원들에서 뽑은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PC-Fi에선 PC(와 사운드카드 혹은 dac)가 그 소스기기역할을 대신합니다.
음원도 cd보다는 mp3같은 손실음원파일이나 flac같은 무손실음원파일들이 대체로 이용됩니다.
<앰프>
말뜻 그대로 증폭기(Amplifier)역할을 합니다.
음원부에서 오는 소리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조금더 깊게 나가면
앰프도 3종류로 나뉩니다.
소리를 변화시키는 프리앰프와 신호의 증폭을 담당하는 파워앰프
그리고 이 둘이 하나로 되어있는 인티앰프가 있습니다
프리앰프는 기기의 특성에따라 적절하게 소리를 가감시켜줌으로써 음색의 변화를 일으킵니다.
여기서 소리를 가감시켜준다는건
소리를 좋게 바꿔준다는것이 아닙니다.
다른기기와 음원의 매칭이 잘되야지만이 더 좋은 소리를 낼 수 있는데
만약 그렇지 못하다면 더 안좋은 소리로도 바뀝니다.
이 프리앰프는 증폭역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증폭을 담당하는 파워앰프가 반드시 있어야지만이
스피커에서 출력이 가능할정도의 소리를 보냅니다.
인티앰프는 파워앰프와 프리앰프 두개가 합쳐져 있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합니다.
하지만 병합되어있다는 점때문에 업그레이드가 제한적이고 성능이나 다양한 구성에도 제약이 따릅니다.
진공관 앰프도 있습니다만 이쪽은 잘 모르는데다가
pc-fi에서 진공관앰프를 쓸 일도 거의 없다생각되기에 넘어갑니다.
<스피커>
스피커는 소리의 출력을 담당하는 기기입니다.
설명을 앞서,
아까
"셋 중에 하나라도 없다면 소리는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습니다."
라고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의문도 들수 있습니다.
"나는 앰프가 없는데?"
일단은 스피커 종류부터 먼저 야셔야 됩니다.
스피커는 앰프의 내장유무에 있어서 액티브스피커와 패시브 스피커로 나뉩니다.
패시브스피커는 앰프가 내장되어있지 않은 스피커를 말합니다.
따로 앰프가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가정에선 간편한 액티브스피커가 사용됩니다.
액티브스피커는 앰프가 내장되어있는 스피커를 말합니다.
보통 일반가정에서 쓰는 저가형 pc용 스피커들은
앰프가 내장되어있습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앰프가 없이도 소리가 나는 걸로 알고있는데
앰프가 없이도 소리가 나긴 납니다만 모기소리정도로 작게 납니다.
그러므로 앰프가 없는게 아니라 스피커안에 앰프가 있는것입니다.
그리고 앰프와 병합되어있다고 싸구려는 아닙니다. 저가형 스피커들이 주류를 이루지만
액티브스피커도 몇천만원대를 훌쩍 넘는 기기들이 있습니다. 인티앰프처럼 제약이 따르는것 뿐이죠.
pc-fi용 스피커에는 액티브 스피커가 많습니다.
예로 제가 썼던 오디오엔진(Audio Engine) A2도 액티브형 스피커입니다.
스피커의 종류는
앰프의 유무
모양/크기
채널 수
사용환경/용도
동작원리
유닛의 수
등등.. 여러가지로 나뉩니다.
앰프유무를 제외해도
다 적기에는 너무 많으므로
채널만 간단히 정리하겠습니다.
(스피커는 나중에 따로 포스팅할겁니다.)
-채널 수
채널은 1채널부터 극장에서 쓰이는 11.1채널까지(이이상 있을수도) 다양합니다.
홈시어터나 극장같은 av시스템에 맞는 스피커들은 다채널이 더욱 유리하지만
음악감상과 hi-fi가 목적인 오디오나 pc-fi에 있어서는 2채널의 음원과 시스템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sacd나 dvd-audio같은 음원의 경우는 5.1채널도 지원하지만 상용화되지 않은데다가 비싸고 까다롭기 때문에
매니아들중에서도 사용하는 분들은 적습니다.
pc-fi에선 더더욱 그렇죠.(사실 못봤습니다.)
모노라고 불리는 1채널 시스템은 한위치에서의 소리만 들려주기에 입체감을 느낄 수 없습니다.
우리가 입체감을 느끼는 이유도 귀가 2채널(?)이어서기 때문이죠.
2채널시스템(스테레오)부터는 각기 다른 위치에서의 소리가 귀 양쪽으로 다른 소리를 들려주기 때문에 녹음 당시의 소리공간을재현줌으로써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것입니다.
소리를 내는 구성방식의 개념은 여기서 끝이 났습니다.
처음엔 쓴글이 맞는지 찾아보다가 나중엔 쓰는것도힘들어서 그냥 멋대로 썼네요.
잘못된 부분 있다면 태클/지적 환영입니다.
다음은 pc-fi의 구성방식의 종류와
그 외 개념들에 대한 설명을 나갑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 음악·노래 스트리밍 사이트 Grooveshark.com (2) | 2011.12.03 |
---|---|
pc-fi의 구성방식과 dac. (8) | 2011.07.04 |
안드로이드어플/크롬응용프로그램 "Chrome to Phone(크롬 투 폰)". (4) | 2011.06.11 |
갤플70 (갤럭시 플레이어 70) 펌웨어 파일 다운로드. 복구,벽돌용 (14) | 2011.06.05 |
외국 웹하드(파일호스팅 사이트) 이용하기.-4 (0) | 2011.06.02 |